전체 글56 아기 열경련 증상과 원인, 대처법 알아보아요 아이가 열이 높으면 열경련이 발생할 수 있어요. 오늘은 열경련의 증상과 원인, 대처법까지 알아보도록 해요. 아기 열경련 생후 6개월~ 5세 사이의 아기가 고열과 함께 온몸에 경련을 하는 것을 열경련이라고 해요. 아기는 체온조절하는 기능과 뇌 발달이 미숙하기 때문에 열이 오르며 뇌가 흥분하게 되면서 근육까지 전달되어 전신 경련 증상이 생길 수 있어요. 원인 열경련을 일으키는 가장 큰 원인은 고열이에요. 중이염, 편도염, 인후염, 감기로 인해 열이나며 여자아기보다 남자아기가 발생빈도가 높아요. 18개월에서 22개월 사이에 증상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데 보통 5세가 넘어가면 열경련 발생률이 낮아져요. 증상 38도 이상의 열이 오르며 오한증상이 있어요. 눈이 한쪽으로 돌아가기도 하며 입술, 얼굴색이 파랗게 보여요.. 다양한질병 2024. 4. 12. 더보기 ›› 이소티논(이소트레티노인) 복용량과 복용방법, 부작용 이소티논은 여드름의 발생원인인 피지의 생성을 억제시켜 주는 피지조절제로 여드름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이소트레티노인계열의 약으로써 로이탄 , 로아큐탄, 제로큐탄 등의 약이 있습니다. 이소티논의 복용량과 복용방법 그리고 부작용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결정성, 응괴성, 낭포성의 여드름의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낭포성 및 응괴성 여드름에 효과적이며, 비타민A 유도체로 인해 중증 여드름치료에 효과가 있습니다. 복용량 초기치료에는 1일에 체중 kg당 0.5mg 용량을 투여하며 중증여드름은 2.0mg까지 증량할 수 있습니다. 치료기간은 16주~24주 정도 복용하게 되며 24주를 복용했다면 최소한 8주 동안은 휴약기간을 가진 후에 다시 복용할 수 있습니다. 복용방법 이소티논은 1 캡슐에 10mg의 용.. 다양한질병 2024. 4. 11. 더보기 ›› 여드름의 색깔, 종류와 원인 날이 더워지면서 피지와 유분의 분비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날씨는 여드름이 많이 생길 수 있습니다. 여드름의 색깔에 따라 알아보는 여드름의 종류와 원인, 그리고 치료방법까지 알아보겠습니다. 여드름은 무엇인가 여드름이란 모낭에 있는 피지선에 생기는 염증성 질환입니다. 피지는 모낭 벽을 따라서 위로 올라가 밖으로 배출되게 되는데 이때 피부밖으로 피지가 배출되지 못하고 모낭에 갇히게 되면서 박테리아가 번식하게 되어 염증이 생겨 여드름이 만들어집니다. 여드름종류 여드름은 염증성여드름, 비염증성 여드름, 화농성 여름으로 나뉘는데 좁쌀여드름 → 구진성여드름 → 화농성여드름 → 결정성 여드름으로 진행이 됩니다. 하얀색 좁쌀여드름 피지가 과도하게 분비되거나 노폐물들이 모공에 쌓여서 생기는 하얀색 알갱이 모양의 여.. 다양한질병 2024. 4. 11. 더보기 ›› 사후피임약 종류 효과 부작용 이해하기 응급피임약이라고도 부르며 위급한 상황에서 피임을 위해 먹는 약입니다. 사후피임약 종류와 효과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종류 주로 레보노르게스트렐성분과 울리프리스탈 아세테이트 성분으로 된 약이 있습니다. 레보노르게스트렐 이 성분의 약은 프로게스틴이 함유된 응급 피임약으로 성관계 후 72시간 이내에 복용해야 합니다. 이약을 복용하면 난소에서 난자 방출이 일시적으로 중단이 되고 난자의 수정을 방해하고, 자궁 내 착상이 되지 못하도록 합니다. 울리프리스탈 아세테이트 이 성분의 약은 황체형성 호르몬 증가 후 배란을 지연시키거나 억제시키는 기전으로 레보노르게스트렐 성분보다 효과가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성관계 후 120시간 이내에 복용해야 합니다. 효과 사후피임약은 난포의 성숙과 배란을 늦추거나 억제.. 여성건강 2024. 3. 29. 더보기 ›› 당뇨의 초기증상 진단 기준 수치 합병증 당뇨병을 진단받은 사람보다 당뇨병을 진단받기 전의 고위험군 환자들이 많다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 그래서 조기발견 후 꾸준한 관리를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당뇨의 초기증상, 진단 기준수치, 합병증까지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당뇨의 원인 1형 당뇨 면역체계가 췌장에서 인슐린을 만드는 베타세포를 공격하여 파괴되어 인슐린의 생산이 중단되거나 감소하게 되어 혈당조절을 할 수 없게 되어 발생하게 됩니다. 2형 당뇨 혈당 조절을 도와주는 인슐린이 충분히 만들어지지 않거나 몸 안에서 인슐린이 효과적으로 사용되지 못하는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하여 발생하게 됩니다. 체중증가로 인한 비만은 인슐린 저항성을 증가시킵니다. 과도한 체지방, 특히 복부 지방은 인슐린이 효과적으로 작동하지 못하게 합니다. 가족력이 있는.. 당뇨병 2024. 3. 28. 더보기 ›› 이전 1 ··· 3 4 5 6 7 8 9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