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기 열경련 증상과 원인, 대처법 알아보아요

hakomong 2024. 4. 12.
728x90
반응형

 

 

아이가 열이 높으면 열경련이 발생할 수 있어요. 

오늘은 열경련의 증상과 원인, 대처법까지 알아보도록 해요.

 

 

아기 열경련

생후 6개월~ 5세 사이의 아기가 고열과 함께 온몸에 경련을 하는 것을 열경련이라고 해요.

아기는 체온조절하는 기능과 뇌 발달이 미숙하기 때문에 열이 오르며 뇌가 흥분하게 되면서 근육까지 전달되어 전신 경련 증상이 생길 수 있어요.

 

원인

열경련을 일으키는 가장 큰 원인은 고열이에요.

중이염, 편도염, 인후염, 감기로 인해 열이나며 여자아기보다 남자아기가 발생빈도가 높아요.

18개월에서 22개월 사이에 증상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데 보통 5세가 넘어가면 열경련 발생률이 낮아져요.

 

증상

  • 38도 이상의 열이 오르며 오한증상이 있어요.
  • 눈이 한쪽으로 돌아가기도 하며 입술, 얼굴색이 파랗게 보여요.
  • 몸이 뻣뻣해지며 팔다리나 전신까지 떨어요.
  • 침을 흘릴 수 있고 의식을 잃을 수도 있어요.
  • 열경련이 끝나 면 아기가 축 늘어져요.

 

대처방법

갑작스러운 아기의 경련은 놀랄 수밖에 없어요. 다행히 아기의 경련은 금방 좋아져요.

아이가 경련을 시작했다면 다음과 같이 대응해 주세요.

  • 아기를 바닥에 눕혀주고 질식을 예방하기 위하여 고개를 옆으로 돌려주도록 해요.
  • 경련을 하다가 아기가 부딪히면 다칠 위험이 있어요. 주변에 위험한 물건이 있다면 치워주세요.
  • 옷을 느슨하게 해 주거나 벗겨서 편하게 숨 쉴 수 있도록 해주세요.
  • 입속에 이물질이 있다면 제거해 주시고, 혀를 깨물 수 있으니 수건을 물려주는 것이 도움이 돼요.
  • 어떤 증상으로 경련을 하는지 꼼꼼히 관찰하여 기록해 두면 추후 의료진상담을 받을 때 도움이 돼요.

 

주의할 점

아기가 경련 중이거나 의식이 없을 때에는 해열제나 물을 먹이면 매우 위험할 수 있어요.

경련이 다 끝난 이후에 물을 먹여주세요.

아기의 경련을 멈추게 하기 위하여 몸을 꽉 잡으면 안 돼요. 그냥 놔두시고 증상 관찰을 하는 것이 좋아요.

 

대부분 아기의 열경련은 5분 이내로 끝나는 경우가 많은데 15분 이상 증상이 지속된다거나 하루 2번 이상의 열경련이 발생한다면 곧바로 응급실로 가야 해요.

 

 

오늘은 아이들에게 언제든지 나타날 수 있는 열경련의 증상과 원인 대처법까지 알아보았어요.

대처법을 기억해 두시다가 아이가 열경련을 한다면 침착하게 대응하시길 바라요.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