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56 항생제와 이소티논을 같이 먹으면 안되는 이유 중증 여드름을 치료하는 약인 이소티논은 항생제와 같이 복용을 했을 때에는 위험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어요. 오늘은 왜 이소티논과 항생제를 왜 같이 복용하면 안 되는지 이유를 알아보도록 할게요. 이소티논과 같이 복용하면 안 되는 항생제 이소티논은 이소트레티노인 계열의 여드름약이에요. 모든 항생제가 이소티논과 같이 먹으면 안 되는 것은 아니에요. 아래에 있는 항생제들은 같이 먹으면 안 되는 항생제이니 잘 알아두시고 주의하셔야 해요. 미노사이클린계 항생제 독시사이클린계 항생제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 위에 있는 항생제와 이소티논을 같이 복용할 경우 뇌의 혈압이 높아져서 가성 뇌종양의 위험을 높일 수 있어요. 가성 뇌종양은 종양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두통이나 현기증, 시력장애 등이 나타나는 것을 말해요. 미노씬은.. 다양한질병 2024. 4. 14. 더보기 ›› 임신하기전에 이소티논은 언제끊어야 할까?? 중증 여드름을 치료하는 이소티논은 임신을 준비하는 여성이 먹으면 안 되는 약이에요. 이소티논은 기형아 유발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임신을 계획 중이라면 중단해야 해요. 얼마 전부터 이소티논을 끊어야 할지 같이 알아보아요. 이소티논이 주는 임신 시 부작용 이소티논은 임신 시 기형아 유발성이 매우 높은 약입니다. 그러므로 임신을 계획하고 있는 여성은 절대로 복용하면 안 되는 약이에요. 임신 중에 이소티논을 1알만 복용해도 태아 기형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어요. 태아의 뇌, 안면 그리고 심장의 기형, 지능저하, 자폐증 등 기형이 유발될 가능성이 38%나 있어요. 임신 얼마 전부터 이소티논을 끊어야 할까? 최소한 임신계획 한 달 전부터는 이소티논을 중단해야 해요. 하지만 안전하게 3개월~ 6개월의 휴약기간을.. 다양한질병 2024. 4. 14. 더보기 ›› 악성뇌종양 교모세포종 초기 증상과 원인 수술법 교포세포종이란 성인에게서 발생하는 뇌종양으로 원발성 악성 뇌종양 중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종양이에요. 진단받은 후 치료를 하지 않는다면 3개월~6개월 내에 사망하게 되고 치료를 받더라도 평균적으로 12개월~ 14개월 정도 생존기간이 되는 매우 위험한 질환이에요. 교모세포종 뇌 조직에 안에 있는 신경교세포에서 발생하는 종양으로 전체 뇌종양의 12~15% 정도 차지하고 있어요. 신경교세포는 중추 신경계의 조직을 지탱해 주는 세포로 신경세포와 혈관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영양공급, 신경세포의 지지, 노폐물제거, 식세포 작용등을 담당하고 있어요. 원인 교포세포종이 발생하는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어요. 하지만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관련되어 있을 거라고 알려져 있어요. 방사선물질 및 발암 물질 노출,.. 다양한질병 2024. 4. 13. 더보기 ›› 탈모약 종류와 종류별 특징 알아보아요 국내에 판매되고 있는 탈모약은 다양한 종류들이 있어요. 나에게 맞는 탈모약은 어떤 것인지, 그리고 약의 종류와 종류별 특징 그리고 부작용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해요. 종류 탈모약의 종류는 미녹시딜, 피나스테리드, 두타스테리드 이렇게 3가지가 있어요. 미녹시딜은 두피에 바르는 탈모약이며, 피나스테리드, 두타스테리드는 먹는 탈모약이에요. 미녹시딜 피부의 혈류량을 증가시켜서 모낭세포의 분열을 촉진시켜 발모를 유발하는 원리예요. 고혈압 치료를 하기 위한 혈관 확장제로 처음엔 개발되었는데 발모 효과가 발견되어서 탈모치료제로 FDA승인을 받아 판매되기 시작되었어요. 알약형태로 되어있는 미녹시딜은 고혈압치료제로 사용되고 있고 바르는 형태는 탈모치료제로 사용되고 있어요 피나스테리드 이 탈모약은 정수리 탈모에 효과를 볼 .. 다양한질병 2024. 4. 13. 더보기 ›› 번아웃 증후군 증상, 해결법, 테스트 요즘 번아웃 증후군을 호소하는 직장인이 늘어가고 있는 추세라고 해요. 야근이 많은 우리나라에서 경험해 본 분들이 많은데요. 번아웃증후군이 무엇인지, 어떤 증상을 나타내는지 함께 알아보아요. 번아웃증후군 정식 질병은 아니지만 세계보건기구(WHO)에서 만성적 업무 스트레스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며 꾸준한 관리가 필요한 증상으로 인정되어 있는 증상이에요. 탈진 증후군 이라고도 하며 심리학 용어예요. 번아웃, burn out은 소진이라는 의미이며 1974년 미국의 허버트 프로이덴버거(Herbert Frendenberger)라는 심리학자에 의해 처음 사용된 용어예요. 업무에 너무 몰두하여 일하던 사람이 갑자기 극도의 피로감을 느끼면서 무기력해지는 것을 의미해요. 증상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전신 무력감과 극심한 피로예요.. 다양한질병 2024. 4. 12. 더보기 ›› 이전 1 2 3 4 5 6 7 8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