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8

식후 혈당 조절을 도와주는 영양제 식후 혈당 조절에 도움이 되는 영양제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은 물에 녹는 식이섬유의 한 종류로, 프리바이오틱스의 일종입니다. 물에 녹는 수용성 식이섬유중 혈당 상승 억제, 장내 유익균 증가의 정장작용, 혈중 지질 저하의 3가지 기능을 모두 가진 유일한 식이섬유입니다. 말토덱스트린은 많이 먹게 되면 당뇨 위험성이 있는 사람에겐 좋지 않다고 알려져 있지만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은 전혀 다릅니다.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은 옥수수, 밀, 감자등에서 일반적으로 추출됩니다. 효소분해하고 정제된 것에서 난소화성 성분을 분리하여 먹을 수 있도록 만들 것입니다. 당들의 결합을 변화시켜서 소화를 불가능하게 하는 화학적 과정에 의하여 생선 된 식이섬유입니다. 우리의 몸 안에는 새로운 결합.. 당뇨병 2023. 4. 27.
혈당 조절에 도움을 주는 영양제 혈당 조절이 되지 않으면 급성 대사성 합병증으로 인하여 의식을 잃거나 생명의 위험이 생길 수 있고, 합벽증으로 혈관에 문제가 생겨 동맥경화증, 신장 및 신경 등에 문제가 생겨 시력을 잃거나 만성신부전, 신체의 감각저하 및 통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우리의 건강을 위하여 혈당 조절에 도움을 주는 영양제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크롬 크로뮴이라고 불리는 영양성분으로 고기나 미역, 감자, 치즈, 과일과 채소 등에 소량으로 함유되어 있습니다. 크롬이 부족할 경우에도 혈당 조절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인슐린이 혈당을 낮추라는 신호를 줘도 몸이 인식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크롬은 우리 몸에 들어가면 GTF크롬(glucose tolerance gactor)의 성분의 재료로 쓰이게 됩니다. GTF는 내당력.. 당뇨병 2023. 4. 25.
갑상선암의 종류와 증상 갑상선 결절이라고 하는 혹이 갑상선에 생기는데, 양성과 악성으로 나누어집니다. 이 중에서 악성 결정들을 갑상선암이라고 합니다. 갑상선암의 종류 갑상선암은 기원 세포의 종류나 세포의 성숙 정도에 따라 분류가 됩니다. 여포세포에서 기원하는 유두암, 여포암, 저분화암 및 미분화암(역형성암), 그 외의 세포에서 기원하는 수질암, 림프종과 전이성 암등이 있습니다. 여포라고 하는 것은 소포라고도하며, 내분비 샘 조직에서 다수의 세포가 모여서 이루어진 주머니 모양의 조직모양을 말합니다. 뇌하수체 중간엽이나 갑상선, 난소에서도 비슷한 모양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세포의 구조와 기능이 특수화나 성숙한 정도를 분화도라고 하는데, 현미경으로 암세포를 관찰했을 때 분화가 비교적으로 잘 잘 된 것은 정상 세포를 닮았고 분화가 .. 다양한질병 2023. 4. 20.
갑자기 온몸에 힘이 빠지는 모야모야병 정의 모야모야병은 특별한 이유 없이 전대뇌동맥과 중대뇌동맥 시작 부분에 협착이나 폐색이 보이고, 그 부근에 모야모야 혈관이라는 작은 이상 혈관이 관찰되는 것을 모야모야병이라고 합니다. 뇌의 앞쪽으로 가는 주된 혈관인 내경 동맥의 끝 부분이나, 중대뇌동맥, 전대뇌동맥의 시작부위가 좁아지거나 막혀서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해 피가 모자라게 된 부위에서 가느다란 혈관들이 자라서 들어갑니다. 모야모야병명은 일본말로 "담배연기가 모락모락 올라가는 모양"이라는 의미로 뇌혈관 촬영에서 그물 모양의 가느다란 혈관들이 연기가 올라가는 형태로 보인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한국과 일본, 동아시아 국가에서 많이 발생하며, 서양국가보다 발병률이 약 10배 이상 높습니다. 남성보단 여성에게서 2배 정도 발병률이 높으며, 약.. 다양한질병 2023. 4. 19.
엠폭스(원숭이두창)의 원인 및 증상 정의 엠폭스(원숭이두창)는 천연두와 우두 등이 포함된 오르토폭스바이러스(Orthopoxvirus) 속의 원숭이 두창 바이러스(Monkeypox virus, MPXV)가 일으키는 희귀 인수공통전염병입니다. 원숭이 두창을 가리키는 'Monkeypox'가 정식 명칭이었고 'MPOX' 쪽은 약어 사용하였으나 2022년 11월경 세계보건기구에서 특정 문화 및 지역과 관련하여, 감염자에 대한 차별과 낙인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식 명칭을 'MPOX'로 변경하게 되었습니다. 같은 해 12월 14일 질병관리청에서도 이 한국어 표기를 '엠폭스'로 변경할 것을 관계기관에 권고하였습니다. 다만, 원인바이러스의 이름은 '원숭이 두창 바이러스'가 유지됩니다. 원인 원래 원숭이두창 바이러스는 중 서브 아프리카의 열대우림에.. 다양한질병 2023. 4.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