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핵의 종류 원인 증상 치료 예방법
치핵이란 항문 주변의 혈관과 조직이 덩어리를 만들어서 돌출이 되었거나 출혈을 생기는 것을 말합니다. 항문관 안에는 배변을 할 때 충격완화를 위하여 혈관이나 결합조직이 모여생 긴 점막하 근육이라고 불리는 쿠션이 있는데 이것은 변실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해주고 우측 전방외측, 후방외측, 좌측외측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힘을 주어 변을 보는 습관이나 반복되는 배변으로 인하여 생긴 복압과 변의 덩어리 등이 점막 하 조직을 압박하고 울혈 되게 하고, 항문주위 조직이 변성되어 항문관 주위의 조직의 탄력도를 감소시켜 항문관 주변에 덩어리를 생기게 합니다. 배변 시에 이러한 덩어리 때문에 상처가 생겨 출혈이 생기게 되고, 점차 아래로 내려오게 되면서 크기가 커져 항문이 빠지는 증세를 보이게 됩니다.
종류
1) 내치핵
내치핵은 1도, 2도, 3도, 4도의 치핵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정맥울혈이 항문관 내로 돌출하고 출혈이 가끔 동반되는 1도 치핵과 항문 입구로 치핵이 내려왔다가 배변이 중단되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는 2도 치핵, 더 진행되어 쉽게 항문밖으로 빠져나와서 안으로 밀어 넣어줘야 다시 들어가는 3도 치핵, 마지막으로 들어가지 않으며 괴사와 통증이 동반되는 4도 치핵이 있습니다. 혈전이 형성되고 괴사가 된 경우에 통증이 발생하며 출혈이나 가려움, 분비물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2) 외치핵
외치핵은 항문 입구 바깥의 피부로 덮여있는 부위에서 나타나며 심한 통증을 동반하게 됩니다. 반복된 혈전과 혈관의 확장으로 인하여 피부가 늘어지게 됩니다.
원인
정확한 치핵의 원인은 밝혀지진 않았으나 잘못된 배변습관, 장시간 변비에 앉아 있는 습관, 변비나 음주 및 딱딱해진 대변이나 변을 보기 이하여 항문에 힘을 주는 경우, 골반 바닥이 약해져 있거나 복압이 증가된 경우에 비정상적으로 치핵 조직이 커질 수 있습니다. 힘을 주어 배변을 하는 습관과 반복되는 배변으로 인하여 생긴 복압과 변 덩어리들은 점막 하 조직을 압박시켜 울혈 되게 합니다. 그로 인하여 항문 주위 조직이 변성되어 항문관 주위 조직의 탄력도를 감소시켜 항문관 주변에 덩어리를 만들게 합니다. 또한 여성은 임신이나 출산을 할 때 골반의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못할 수 있고 항문 주위 혈관의 울혈이 쉽게 생길 수 있는데, 이로 인하여 치핵이 생기거나 악화될 수 있고 출산 이후에는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증상
가장 흔한 증상은 출혈과 탈항이며 대부분 배변을 볼 때 피가 묻어 나옵니다. 내치핵은 탈홍(직장이 탈출한 것)이나 출혈, 혈전이 형성되어 괴사가 된 경우에만 통증을 유발하고 외치핵은 혈전이 형성되며 가려움, 통증, 피부가 늘어지는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배변 시에 생겨있던 덩어리의 상처로 인하여 피가 나게 할 수 있고 아래로 점점 내려오면서 크기가 커져서 항문이 빠지는 증상을 나타나게 합니다.
치료
치핵은 올바른 치료를 받게 되면 완치가 가능하며, 증상과 진행정도에 따라서 치료 방법이 달라지게 됩니다. 1~2도의 치핵은 식이요법이나 변 완화제, 좌욕과 배변습관의 교정, 통증치료등의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2~3도의 치핵은 환상 고무 결찰술을 시행하는데, 고리 모양인 고무로 묶어주는 방법입니다. 시술을 받고 7일에서 10일 사이에 조직이 잘리게 되면서 치핵이 떨어지게 됩니다. 주의할 것은 합병증으로 패혈증이나, 배뇨곤란, 출혈이 있을 수 있습니다. 혈관 주위에 열을 주어 섬유화를 유도하는 적외선 응고법이나 액체질소나 이산화 탄소를 이용하여 치료해야 할 부위를 선택적으로 급속히 응고, 파괴하는 보조시술인 한랭 치질 수술도 있습니다. 환상 고무 결찰술이 불가능한 외치핵과 내치핵이 같이 있거나, 3~4도의 크기가 큰 치핵, 통증을 유발하며 괴사 직전인 감돈 치핵, 급성 혈전성 치핵, 항응고 치료를 받고 있는 경우에는 치핵 절제 수술을 받아야 합니다. 개방성 또는 폐쇄성 치핵 절제술과 점막 하 절제술의 수술방법이 있습니다. 수술받고 난 후에 올 수 있는 합병증으로는 배뇨 곤란이 가장 흔하고, 출혈이나 세균의 감염, 딱딱한 대변이 직장 안에 가득 차는 현상인 분변 매복, 항문이 좁아지거나 괄약근의 손상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예방법
특별히 치핵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아직은 없습니다. 다만 변비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섬유질이 많은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좋으며, 오랜 시간 변기에 앉아있는 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양한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소티논(이소트레티노인) 복용량과 복용방법, 부작용 (0) | 2024.04.11 |
---|---|
여드름의 색깔, 종류와 원인 (0) | 2024.04.11 |
천식의 정의 원인 증상 치료방법 예방법 (0) | 2023.04.27 |
갑상선암의 종류와 증상 (0) | 2023.04.20 |
갑자기 온몸에 힘이 빠지는 모야모야병 (0) | 2023.04.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