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궁경부암의 예방법과 검사방법

hakomong 2023. 4. 17.
728x90
반응형

 

자궁과-난소-모양

정의

 

자궁경부암이란 자궁의 입구 부분에 해당하는 자궁경부에 발생하는 여성 생식기 암입니다. 자궁경부암은 암이 되기 이전 단계인 전암 단계를 5~10년의 기간을 거쳐 진행이 됩니다. 자궁경부 표면의 정상 상피세포에서 시작하여 자궁경부 상피내이형성증(정상세포조직과 암조직세포의 중간단계)을 거쳐서 상피 내에만 암세포가 존재하는 자궁경부상피내암(자궁경부암 0기)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이 단계에서 치료하지 못하면 다시 침윤성 자궁경부암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정상 상피세포에서 침윤암이 되는 기간은 수년에서 수십 년에 걸려 서서히 진행됩니다. 상피내암이란 암세포가 상피에는 존재하나 기저막까지는 침범하지 않은 상태로 0기로 표시합니다. 상피라고 하는 것은 우리 몸의 가장 바깥 부분을 구성하는 세포를 말합니다. 피부, 우리 몸의 각 장기에는 모두 가장바깥층에 상피가 존재하고 그 아랫부분에는 기질이라는 부분이 존재하는데, 이 상피와 기질 사이의 경계를 기저막이라고 합니다. 기저막까지 암이 침범하면 침윤성 암으로 분류합니다. 자궁 경부암은 두 종류로 나뉘게 됩니다. 편평 상피세포암과 선암으로 나뉘게 되는데 편평 상피세포암은 자궁경부암중 약 80%를 차지하며, 선암은 10~2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편평 상피세포암과 선암의 특징을 모두 가진 혼합 암인 선편평상피세포암은 2~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발생 위험 요인

 

자궁경부암은 HPV라고 하는 사람유두종바이러스에 감염이 가장 중요한 원인 중 하나라고 보입니다. 대부분의 자궁경부암 환자에게서 HPV바이러스가 발견되고 있으며 이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으면 자궁경부암의 발생 위험도가 10배 이상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상피 내 종양의 90%는 HPV바이러스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현재까지 밝혀진 HPV바이러스의 종류는 대략 150여 종이며, 이중에 약 40여 종이 항문과 생식기 감염에 관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HPV바이러스는 고위험군과 저위험군으로 나뉘어 있는데, 저위험군은 대게 인체표피에 사마귀를 만듭니다. 고위험군 바이러스 중에서 16,18,32,33등 경부암의 전단계인 자궁경부이형성증으로 발전하며 이중 일부는 자궁경부암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16번과 18번은 자궁경부암 환자의 70~에서 발견되는 번호들입니다.HPV바이러스는 대부분 성관계를 통하여 전파되고 매우 흔하며 한국 성인 여성의 10명 중 1~2명, 성인남성중 1명 정도가 감염되어 있다고 합니다. 역학적인 연구에 의하면 어린 나이에 성관계를 시작하거나, 성관계의 상대가 많을수록 HPV바이러스에 감염될 위험이 증가하게 됩니다. HPV바이러스에 감염되었다고 하더라도 모두 자궁 경부암으로 진행되는 것은 아닙니다. 다른 요인들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되어있지만 현재까지는 자궁경부암의 발생의 가장 중요한 원인은 HPV바이러스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예방법

 

자궁경부암 예방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것은 정기적인 검진을 받고 병변을 일찍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입니다. 국가에서는 만 20세 이상 여성에게 2년 간격으로 무료 자궁경부암세포검사를 권고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 산부인과에서는 1년 주기로 정밀검사를 받는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HPV바이러스는 대부분 성접촉에 의하여 감염되기 때문에 안전하게 성관계를 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콘돔을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되나 콘돔이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HPV바이러스를 예방해 주는 예방접종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현재는 가다실 9가가 가장 최신의 예방접종주사이며 16,18,6,11,31,45,52,58번을 예방할 수 있는 주사입니다. 자궁경부암 예방백신안에는 16,18번이 있으므로 전체 자궁경부암의 약 70~90%를 예방할 수 있다고 되어있습니다. 그러나 HPV바이러스 예방백신을 맞았다 할지라도 10~30%의 자궁경부암을 예방하기 위해 정기적인 자궁경부암 검사는 필수입니다. 

 

검사방법

 

자궁경부암검사에는 세포검사,경부촬영검사,HPV바이러스검사 3가지가 있습니다. 세포검사는 국가에서 2년마다 무료로 해주는 PAP smear와 정밀세포검사인  thinprep이 있습니다. 자궁경부암검사는 각각 따로 시행하기보다는 3가지를 같이 시행했을 때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3가지의 자궁경부암검사에서 이상이 발견되었을 경우 Punch bx라는 조직검사를 하게 되고 조직검사 결과에 따라 추적관찰을 하게 될지, 원추절제술이나 레이저시술, 냉동시술을 할지 결정하게 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