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광염의 정의 원인 검사 치료법 예방법
소변을 자주 보게 되는 빈뇨, 소변본 후에 느껴지는 잔뇨감 또는 배뇨통이 동반된다면 방광염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방광염의 증상이 있을 때는 치료가 필요하며 방광염이 심해지게 되면 신우신염까지 갈 수 있으므로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방광염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방광염의 정의
방광에 세균이 들어가면서 염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방광 안에 세균이 증가하여 빈뇨감, 잔뇨감, 배뇨통, 혈뇨 및 배뇨곤란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염증이 방광에만 나타나고 다른 장기에는 염증이 나타나지 않는 질환입니다. 방광염이 1년에 3회 이상 발병하게 되면 만성 방광염이라고 하게 됩니다. 급성방광염은 배뇨통, 절박뇨(갑작스럽고 강하게 요의를 느끼고 소변이 마려우면 참을 수 없는 증상), 빈뇨(하루 8회 이상 소변을 보는 것), 잔뇨감, 배뇨곤란, 야뇨증과 같은 증상을 동반하며 혈뇨 및 배뇨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방광염이 심해지면 급성 신우신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방광염은 발열이나 오한을 일으키지 않으나 신장까지 균이 올라가게 되면 열이 날 수 있습니다.
원인
보통 세균이 요도를 통하여 방광으로 들어가게 되며, 여성의 경우 항문과 요도가 가깝고 요도가 3~4cm로 짧기 때문에 세균이 방광으로 올라가기 쉽기 때문에 남성보다 여성의 방광염에 걸릴 확률이 높습니다. 방광염 환자 중 여성의 95%입니다. 회음부나 질입구에는 세균이 많이 살고 있는데 성관계나 배뇨 후 소변을 항문 쪽에서 질 쪽으로 닦게 되거나, 면역력이 약화되어서 방광염에 걸리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남성은 여성보다 요도의 길이가 3배 이상이며, 길이가 보호벽이 어느 정도 되기 때문에 방광염은 흔하지 않으나 요도염이나 전립선염이 생길 수 있습니다. 보통 대장균이 방광염 원인의 80%를 차지하며 포도상구균, 장구균 등도 급성 방광염의 원인이 됩니다. 소변을 자주 참거나, 스트레스도 방광염의 원인이 됩니다
검사
임상 증상과 소변검사를 통하여 방광염을 진단하게 됩니다. 소변검사에서는 세균뇨, 혈뇨등이 나타나며 확진을 위해서는 요배양검사가 필요하게 됩니다. 급성방광염의 경우 특징적인 증상을 호소하게 되므로 배양검사결과가 나오기 전에 임상적으로 진단하여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방광염 치료를 받은 후에도 혈뇨가 지속된다면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하게 될 수 있습니다.
치료법
급성방광염의 치료를 적절한 항생제 복용입니다. 보통 3~5일 정도 약복용을 하게 됩니다. 주원인이 대장균이므로 이를 치료하기 위해 아목시실린이나, 겐타마이신이 주로 사용됩니다. 배양검사에서 대장균이 아닌 다른 세균이나 항생제에 저항이 있다면 다른 항생제를 사용해주어야 합니다. 만성방광염의 경우 장기간의 항생제 투여를 고려해야 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만성 방광염을 유발하는 요인을 찾아서 없애주는 것입니다. 균으로 인한 감염이니 빠른 치료가 중요하기 때문에 빈뇨감, 잔뇨감, 배뇨통, 혈뇨등의 증상이 지속된다면 가까운 산부인과나 비뇨기과를 방문하여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예방법
방광염은 걸렸을 때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자주 재발할 수 있고 만성화될 수 있습니다. 자주 걸리지 않도록 예방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방하기 위해서는 물을 자주는 것이 좋습니다. 물을 마셔 소변을 자주 보는 것 자체가 요도와 방광 안에 있는 세균을 씻어내어 줄 수 있어 세균의 증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또 성관계 전후로 소변을 보도록 하고 배변이나 배뇨 후 휴지로 닦을 때 뒤에서 앞으로 닦는 것이 아닌 앞에서 뒤로 닦는 습관을 해야 합니다. 소변을 많이 참지 않도록 하며 꽉 끼는 옷을 피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과도한 질세척은 오히려도움이 되는 세균들마저 없애서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술이나 진한 차, 커피, 매운 음식들도 방광을 자극할 수 있으므로 삼가야 합니다. 면역력을 기르고 스트레스를 받았다면 스트레스 해소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여성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반염의 원인부터 치료, 예방법까지" (0) | 2024.03.11 |
---|---|
방광염 원인과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아요! (0) | 2024.03.10 |
자궁내호르몬피임기구 제이디스 vs 카일리나 vs 미레 (0) | 2024.03.09 |
곰팡이성 질염 칸디다 원인 치료방법 및 예방법 (0) | 2024.02.08 |
다낭성 난소 증후군 정의 원인 증상 치료 예방법 (0) | 2023.04.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