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커피 공복에 마셔도 괜찮을까요?

hakomong 2024. 4. 16.
728x90
반응형

 

아침에 식사를 하지 않고 공복에 커피를 드시는 분들이 많으실 거 같아요.

저도 아침식사하지 않고 출근하면 커피를 먼저 마시는 게 일상이거든요 ㅎㅎ

하지만 공복에 커피를 마시는 것은 여러 가지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해요.

오늘은 왜 커피를 공복에 마시면 위험한지 같이 알아보도록 해요.

 

어떤 위험성이 있나요?

소화장애

커피 속에 들어있는 주성분인 카페인위산의 분비를 촉진시켜서 위가 공복상태이면 위벽이 자극되어 소화불량이나 속 쓰림을 만들 수 있어요.

 

위가 손상되면서 위염, 위궤양이나 역류성 식도염의 발생률을 높일 수 있어요.

또한 대장의 연동운동도 방해를 하기 때문에 가스가 찬다거나 더부룩함, 복통을 느낄 수 있어요.

 

코르티솔 호르몬 분비 촉진

아침시간은 하루 중 코르티솔 호르몬의 분비가 가장 많이 나오는 시간이에요.

 

코르티솔 호르몬은 뇌를 깨우는 역할을 하고 있어요.

이때 각성효과가 있는 카페인을 같이 먹게 되면 몸은 과한 각성상태가 되어 두통, 가슴 두근거림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요.

또한 코르티솔 호르몬은 스트레스를 조절하고 신진대사에 관여하는데 과도한 분비가 된다면 스트레스가 더욱 높아지거나 고혈압, 심혈관계 질환, 대사질환 등의 위험이 높아진다고 해요.

 

혈당 조절 실패

당뇨가 있다면 공복에 커피는 마시지 않는 것이 좋아요.

공복에 블랙커피를 마신 사람들에게서 혈당수치가 50% 이상 증가했다는 해외연구의 보고가 있었다고 해요.

 

커피, 건강하게 마시기

하루 커피 3잔 이하 마시기

하루에 마시는 커피 섭취량은 400mg을 넘기 않아야 해요.

 

커피의 온도

60~64도의 뜨거운 음료를 마시면 식도암의 발생위험률이 2배가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있다고 해요.

커피를 너무 뜨겁게 마시지 않도록 해야 해요.

드립이나 분말형태의 커피 마시기

카페스톨이란 뜨거운 물과 원두가 만났을 때 생성되는 기름 성분을 뜻하는데, 콜레스테롤 생성이 증가하게 되는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해요.

 

고지혈증이나 심혈관 질환이 있는 분들이라면 카페스톨의 추출이 덜 되도록 원두를 촘촘히 걸러서 드시는 것을 추천드려요.

 

 

오늘은 공복에 마시는 커피의 위험성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건강을 위해서 공복에 마시는 커피는 자제해 보시는 것이 어떨까요??

 

 

 

 

 

728x90
반응형

댓글